카테고리 없음

서울의 발달과정이요

달콤한 아메리카노 2013. 3. 2. 11:45

 

서울의 발달과정이요

 

서울의 발달과정

 

대한민국이 광복 후 건국되자1945년 다시 경성을 서울로 고치고
1949년에는 서울특별시로 개칭되었으며 이후 경기도 주변으로 서울의 행정구역은

점차 넓어졌고
1963년의 대대적인 시역 확장은 오늘날 시역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1940년대

 

1945년 8월 15일: 8.15 광복, 일본의 무조건 항복, 서울은 미군정 관할하에 있게 되었다.
그 해 10월 행정의 책임자가 한국 사람으로 바뀌었다.

 

1946년 8월 15일: 경기도 경성부를 서울시로 개칭

1946년 9월 28일: 서울시가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되었고

행정상의 직능과 권한이 도(道)단위와 같게 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시기에 가로를 확장하여 대로변에 있는 일본식 상점 건물은 철거하고 새로운 양식의 건물을 세우기도 하였다.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자유시에서 서울특별시로 개칭

 

 

1950년대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 발발, 정부는 부산으로 일시 옮겨 갔다.

 

1951년 3월 14일: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시가(市街)는 심한 전재(戰災)를 입었다. 즉 정부기관·공공시설·공장·학교·주택 등의 도시의 기본적인 시설이 일시에 파괴되어 많은 피해를 입게 되었다.

1952년 7월 20일:한강철교 복구 개통

 

휴전후 전국 곳곳에 피난갔던 시민들이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따라서 서울은 전후 복구사업에 착수하였고, 시민들의 생활도 활기를 띠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성장 궤도에 진입하기 시작한 서울은급속한 성장과 팽창을 경험했다.

서울은 계속 발전하여 1960년 말에는 244만 5천 명의 인구가 생활하고 있는 대도시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1960년경 이후부터 도심지에는 많은 회사와 금융기관이 집중하게 되면서 사무실이 부족하게 되고, 지가가 급속하게 상승되면서 도심지의 토지이용에 큰 변화가 생겼다.

1960년경부터 도심에는 10∼20층 내외의 고층건물이 들어서서 도심지의 스카이 라인(skyline)은 높아져 갔다. 즉 서울도 근대적인 거대 도시로서의 경관을 보이게 되었다.

한편 강남의 영동지구에는 신흥주택 단지, 여의도와 반포지구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1975년에는 강남구, 1977년에는 강서구, 1979년에는 은평구·강동구, 1980년에는 구로구·동작구가 신설되어 총 17개 구가 되었다. 이어 1988년까지 양천구·서초구·송파구·중랑구·노원구가 신설되었고 1996년 광진구·강북구·금천구가 신설됨으로써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은 총 25개 구로 늘어났다.

 


1958년 5월 15일 : 한강인도교 개통
청계천 복개공사 완공(1958년∼1961년, 12월 3일)

 

 

1960년대

 

1961년 12월 4일 : 최초 단지아파트(마포아파트) 건설

 

1962년 5월 16일 : 남산케이블카가 등장했다.

 

1966년 1월 31일 ~ 1969년 12월 31일 : 제3한강교(현 한남대교)착공됨

1967년 8월 13일 : 3·1고가도로(청계고가도로) 완성(2003년에 철거되었다.)

1968년 4월 1일 : 서울 세종로 충무공 동상 제막

1968년 11월 30일 : 서울시내에 전차운행이 중지되었다.

1969년 3월 31일 ~ 1970년 8월 31일: 남산 1·2호터널 개통

 

 

1970년대

1970년 7월 7일 :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었다.

1971년 4월 12일 : 서울 지하철 서울역앞 - 청량리 구간 기공

1972년 7월 14일 : 잠실대교 개통

1972년 5월 5일 : 서울어린이대공원(능동) 개관

1974년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 서울역앞 - 청량리 구간 개통
이와 동시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앞 - 수원, 구로 - 인천, 청량리 - 성북 구간이 개통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

 

 

1980년대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전체 개통

1984년 9월 29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개장

1985년 4월 20일 : 4호선 1차 개통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4호선 전체 개통

 

1986년 9월 17일 : 제10회 아시안게임이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개최

 

1988년 9월 17일: 제24회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개막

 

 

1990년대


1990년 6월 14일: 서울지하철 5,6,7,8 호선이 기공식이 열리고

 

1994년 11월 29일: 서울이 수도가 정해진지 600년이 됨, 한옥마을에 타임캡슐 매장

 

1995년 1월 18일: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하였다.

1995년 2월 20일: 버스전용차선제 실시

 

1996년 : 지하철5,7,8호선 개통

1997년: 여의도광장에 서울공원을 착공

1998년 11월 6일: 성산동에 서울월드컵경기장 기공식

1999년 7월 2일: 지하철 8호선 전구간 개통

 

2000년대

2000년: 지하철 7호선 개통
2000년: 미디어시티 2000 개최
2000년: 서울에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가 개최
2000년: 서울시티투어버스 개통
2000년: 4대문안 역사문화탐방로 인사동길 조성
2000년: 서울드럼페스티발 2000 개최
2000년: 지하철 5호선 광화문갤러리 오픈
2000년: 지하철 6호선 개통

2001년: 지하철 6호선 전구간 개통
2001년: 11월 10일 서울월드컵경기장 개장
2001년: 지하철 9호선 착공

2002년: 한·일 FIFA 월드컵을 개최

2003년: 제1회 하이서울 페스티벌를 개최

2005년: 서울숲 개장

2003년 7월 1일부터 2005년 9월 30일까지 청계천 위의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복개를 걷어내고 청계천 주변 공간을 정비하였다.

2007년: 동대문운동장 철거

2008년: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착공
2008년: 서울디자인풀라자 2008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