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빨강색은 아닌대 왜이렇게 색이 다른거죠? 다른생명체들이랑
쭈꾸미의 피의 색은 초록색이라기 보다는 엷은 푸른색이라고 봐야겠지요.
사람이나 개, 고양이 등의 포유류는 물론 물고기 같은 어류까지 척추동물의 피는 붉은색입니다.
그런데 새우 같은 갑각류나, 쭈꾸미 같은 두족류를 포함한 무척추동물의 피는 푸른색입니다.
척추동물의 피는 붉은색이고, 무척추동물의 피는 푸른색으로 서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피 속의 색소단백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동물은 호흡을 통해 살아갑니다.
산소를 들이마셔서 그 산소를 신체 구석구석 보내야 살아갈수 있습니다.
이 때 산소는 혈관속의 피를 통해서 이동을 하는데, 그 산소를 이동시키는 매개체가 필요합니다.
척추동물의 경우 피속에 적혈구가 있고 적혈구에 헤모글로빈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이동시키고, 무척추 동물의 경우 헤모시아닌이라는 성분이 그 역활을 합니다.
헤모글로빈과 헤모시아닌 둘 다 단백질 성분이고, 색을 가진 색소 성분이라 색소단백질이라고합니다.
큰 차이점은 헤모글로빈은 철(Fe)을 포함하고 있는데 붉은색을 띄고, 헤모시아닌은 구리(Cu)를 포함하고 있어서 산소와 결합하면 푸른색을 띕니다.
그래서 척추동물의 피는 헤모글로빈에 의해서 붉은색을 띄고, 쭈꾸미와 같은 무척추동물의 피는 헤모시아닌에 의해서 푸른색을 띄지요.
헤모글로빈과 헤모시아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네이버 백과사전을 링크해드릴테니 참조하시구요.
아니면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을 하셔도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