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 말하는6식,7식,8식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

 

6식을 意識이라고 합니다. 식별하고 판단하고 추리하며 관념을 짓고 가치 기준을 만드는 의식입니다.

육식이라고 하는 이유는 앞에 안식, 이식, 비식, 설식,신식 이렇게 다섯 가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전오식이라고 합니다, 육식은 전오식에서 생겨난 재료들을 재가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7식을 말나식이라고 합니다. 意로 번역합니다. 아뢰야식을 자아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말한 육식과 아뢰야식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며, 육식을 일어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생각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이며, 잘못된 자아의식을 일으키는 작용을 합니다.

 

8식을 아뢰야식이라고 하며 함장식, 藏識(장식)이라고 합니다, 저장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결과를 내기 전에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해서 무몰식이라고 하며, 이것이 바로 윤회를 하게 합니다. 인식, 행위, 경험, 학습 등에 의해 형성된 인상, 잠재력 등을 저장하는 식입니다. 이것은 진여와 무명이 결합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화합식이라고도 합니다.

진여는 空性이지만, 중생들은

 

Posted by 달콤한 아메리카노 :